2024 차상위계층 조건 및 기준 혜택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제적으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일정 부분의 조건이 맞지 않아 기초생활수급자에 선정이 되지 못하신 분들이 차상위계층이 될 수 있습니다. 차상위계층에게도 다양한 복지혜택을 제공해주고 있는데요. 오늘은 2024 차상위계층 조건 및 기준 혜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차상위계층이란?
차상위계층이란 한마디로 잠재적 빈곤계층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소득금액은 최저생계비 이하이지만, 고정된 자산이 있기 때문에 기초생활수급자 대상에서 제외된 계층입니다.
2024 차상위계층 조건
1) 가구당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50% 이하인 가구
2)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50% 이하이지만, 고정재산이 있거나 부양을 받을 수 있는 상황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의 구분은 고정재산과 부양의무자 유무에 따라 달라집니다. 중위소득 50% 이하이면서 고정재산이 없거나 부양받을 수 없다면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이 주어지고, 그렇지 않다면 차상위계층이 됩니다.
소득인정액
소득인정액은 단순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만을 말하는것이 아니라, 소득평가액과 재산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금액을 뜻합니다.
소득인정액 계산방법
1) 소득평가액 :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의 경우 30%를 공제한 금액으로 실제 받는 소득보다는 낮게 측정됩니다.
2) 재산소득환산액 : 본인이 가지고 있는 각종 재산에서 지역별 기본재산액과 부채를 제외한 금액에 4.17%를 곱한 값입니다.
차상위계층 신청방법
차상위계층 신청은 관할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하거나,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시면 되는데요. 방문신청을 하시는 경우에는 신분증을 지참 후 방문하셔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차상위계층 혜택
1) 생계지원 : 도시가스요금, 전기요금, 통신요금, 학교 우유 급식, 장애수당, 장애아동수당, 장애인연금, 기저귀 분유 지원
2) 의료지원 : 노인 관절 수술비, 미숙아 지원, 고위험 임산부 지원, 미취학 아동 실명 예방, 여성 청소년 생리대, 인터넷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3) 교육지원 : 국가장학금 및 다자녀 장학금, 대학생 근로장학금, 초/중/고 교육비, 평생교육바우처 제공
함께 보면 좋은 글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