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패스 환급신청 및 카드발급 바로가기 정보 알아보겠습니다. K-패스 사업이 2024년 5월부터 시행된다고 합니다. 이는 대중교통을 15번 이상 이용하는 경우 다음 달 최대 53%의 요금을 환급받을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한다고 하니, 해당되시는 분들은 서둘러 신청하셔서 혜택 받아가시기 바랍니다.
K-패스 카드
K-패스 카드 사업은 대중교통 이용을 지원하여 서민과 청년층의 교통비 부담을 줄여주고,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추진되는 사업입니다.
이는 자전거나 도보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를 환급하는 방식인 기존의 알뜰교통카드를 확대 개편하였는데요. K-패스는 이동거리에 상관없이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20~53%의 일정 비율이 적립금으로 지급되는 제도입니다.
K-패스 카드 환급대상자
K-패스 환급대상자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GTX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분들은 환급신청이 가능합니다.
카드발급 바로가기
K-패스 카드 신규 사용자는 2024년 5월부터 K-패스 공식 누리집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카드를 신청하고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기존의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는 별도의 카드 발급 없이 기존 카드를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번거로움을 줄였습니다.
K-패스 전환 신청방법
기존의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분들은 다음과 같은 K-패스 전환 신청방법을 통해 빠르고 간편하게 전환이 가능합니다.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 접속 후 > 알뜰교통카드 카드번호 입력 > 주소지 검증을 위한 주민등록번호 입력 > 이용약관에 동의하여 전환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2024년 5월 1일부터 K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알뜰교통카드 계정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추가 카드 발급이나 회원가입 없이 간단한 회원전환 절차로 K패스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회원전환은 6월 30일까지 가능하며, K패스 회원전환 및 회원가입 전까지 이용내역은 적립 및 지급되지 않습니다.
K-패스 카드 혜택
K-패스 카드 혜택은 기존 알뜰교통카드보다 적립률이 상향되어 교통비 절감 효과가 더욱 커지는데요.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일반인 20%, 청년 30%, 저소득층 53.3%까지 환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간 170,000원 ~ 440,000원까지 아낄 수 있고, 카드사의 추가 할인 혜택까지 받는다면 교통비 절감 효과는 더욱 커지게 됩니다.
K-패스 참여지역
권역 | 광역 | 시군구 |
수도권 | 서울, 인천, 경기 | 전체 |
충청권 | 대전, 세종 | 전체 |
충북 | 청주, 옥천, 제천, 충주, 음성, 진천, 보은, 영동, 증평, 괴산, 단양 | |
충남 | 전체 | |
전라권 | 광주 | 전체 |
전북 | 전주, 익산, 남원, 완주, 군산, 정읍 | |
전남 | 순천, 무안, 신안, 여수, 목포, 해남, 광양, 나주, 담양, 장성 | |
경상권 | 부산, 대구, 울산 | 전체 |
경북 | 포항, 영주, 경주, 김천, 영천, 구미, 상주, 칠곡, 경산, 안동 | |
경남 | 전체 | |
기타 | 강원 | 춘천, 강릉, 원주, 홍천, 양양, 동해, 삼척, 태백, 횡성, 영월 |
제주 | 제주, 서귀포 |
여기까지 K-패스 환급신청 및 카드발급 바로가기 정보 알아보았습니다. 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고 국민의 교통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이므로, 평소에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은 이용하셔서 혜택 받아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