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민방위 훈련 조회 및 일정 확인방법

by momiko 2024. 10. 31.

민방위 훈련 조회 및 일정 확인방법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민방위 훈련은 국가 비상사태나 재난 상황에서 국민의 안전과 지역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실시되는 훈련으로, 만 20세부터 40세 이하의 대한민국 남성 중에서 예비군 복무가 종료된 사람들은 민방위대원으로 편성되어 매년 훈련에 참여해야만 합니다. 오늘은 민방위 훈련 조회 및 일정 확인방법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민방위 일정 조회 바로가기👆

 

 

민방위 훈련 조회 및 일정 확인방법

 

민방위 훈련이란?

 

민방위 훈련이란 재난 상황, 전시 상황, 국가 비상사태등을 대비하여 민방위 대원들이 역할을 숙지하고 대응 능력을 기르게 되는 훈련으로, 민방위 훈련은 매년 지자체별로 일정이 정해져 있으며, 대원은 소속되어 있는 지역의 훈련 일정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꼭 참석해야만 합니다.

 

 

민방위 일정 조회 바로가기🔍

 

민방위 면제 신청 알아보기🔍

 

 

민방위 훈련 대상자는 만 20세 ~ 40세 이하의 대한민국 남성 중에서 예비군 복무가 종료된 사람이 민방위 대원으로 편성되며, 민방위 1~4년 차 대원은 연 1회 소집훈련을 받게 되며, 5년 차 이상 대원은 비상소집 훈련을 주로 받습니다.

 

민방위 훈련 조회 및 일정 확인방법

 

민방위 훈련 조회 및 일정 확인방법

 

민방위 훈련은 pc또는 모바일을 통해 빠르게 일정을 조회하실 수 있는데요. 민방위 사이버 교육센터 또는 정부 24 홈페이지를 통해 자신의 훈련 일정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훈련 일정 조회 바로가기👆

 

 

본인의 훈련 일정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로그인이 필수이기 때문에 공동인증서나 간편인증을 통해 로그인 후, 나의 훈련 일정을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민방위 훈련 조회 및 일정 확인방법

 

민방위 훈련 시간은 보통 평일 낮 시간대에 진행되며, 훈련 소집 통지서 또는 인터넷 조회 시 확인한 일정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훈련 장소에 도착해야 하는데요.

 

소집 훈련은 보통 2시간에서 4시간정도로 진행되며, 비상소집 훈련은 30분 내외로 간단하게 일정을 소화하게 되고, 훈련에 참석 시에는 신분증을 지참해야 하고, 소집 통지서나 모바일로 발급받은 통지서를 지참하시면 좋습니다.

 

훈련 불참 시 불이익

 

민방위 훈련에 사전 신고없이 불참할 경우, 과태료가 부과되며, 과태료는 10만 원에서 50만 원 사이로 불참 횟수에 따라 차등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정당한 사유로 불참하였지만, 증빙 서류 제출을 까먹으신 경우는 지정된 보충 교육에 참여하여 불참을 대체하는 방법도 존재합니다.

 

이상으로 민방위 훈련 조회 및 일정 확인방법 소개해 드렸습니다.